KB금융연구소 '2022 한국부자보고서'
펜데믹 기간, 개미들은 빚내고 부자들은 오히려 빚 갚는데 힘써
1년 이내 단기 투자는 예적금, 중장기 투자는 역시 부동산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부자는 지난해말 기준 42만4000명으로 추정된다.[그래픽=연합뉴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부자는 지난해말 기준 42만4000명으로 추정된다.[그래픽=연합뉴스]

【뉴스퀘스트=남지연 기자 】 “당신의 금융자산은 얼마인가요?  10억원이 넘는다면 귀하는 국내 전체 인구의 상위 1%에 속하는 부자입니다.”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은 지난해 말 기준 42만4000명인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전체 인구의 0.82%로 1년 사이에 3만1000명(8%)가 늘어났다. 증시가 호황이었던 2020년에는 이들 부자들의 증가폭이 10.9%에 달했는데 지난해 주가지수 상승세가 꺾이면서 부자 수 증가 속도도 더뎌졌다.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는 정부 통계와 지난 6~7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 400명을 표본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담은 ‘2022 한국부자보고서’를 4일 펴냈다.

이들이 보유한 자산은 한국은행이 집계한 가계 총 금융자산의 58.5%(2883조원)를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은 42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자산 규모별로는 부자의 90.7%(38만5000명)가 '10억원∼100억원미만'의 금융자산을 보유했으며 보유 금융자산이 '100억원∼300억원미만'인 '고자산가'는 7.3%(3만1000명), 30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초고자산가'는 2.0%(9000명)에 달했다.

올해 기준 이들 부자들의 자산은 평균적으로 부동산 56.5%, 금융자산 38.5%로 구성돼 있었다.

지난해보다는 부동산 비중이 1.7%포인트 줄고 금융자산은 2.2%포인트 늘었다.

이는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부자들의 부동산자산 비중이 줄어든 것이다.

가파른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로 부자들은 부동산자산 비중을 줄이고 현금을 보유하거나 은행 예·적금에 돈을 묻어두는 쪽을 택했다.

이같은 추세를 반영하듯 부자들은 앞으로 1년 이내 단기 투자처로 예·적금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금·보석이나 채권 투자에 대한 기대도 전년 대비 11.8%포인트, 8.3%포인트씩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이들 부자들은 앞으로 3년간 중장기적으로 부동산을 여전히 최고의 자산 증식 수단으로 꼽았다.

고수익 기대 투자분야 1위는 거주용 외 주택(43%)이었고, 다음으로 거주용 부동산(39.5%), 빌딩·상가(38%), 토지·임야(35.8%), 주식(31%) 순이었다.

[그래픽=KB금융지주]
[그래픽=KB금융지주]

지난해 이들 부자들이 보유한 부동산 자산 가치는 총 2361조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했다. 이는 2020년에도 18.6% 증가한데 이어 2년 연속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금융자산 10억~100억원 부자들은 작년 말 대비 부동산 자산 가치가 19.2% 증가했다. 부동산이 부자들에게 최고의 자산 증식 수단으로 작동한 셈이다.

한편 부자들의 돈 굴리는 법은 보통사람들과는 달랐다.

코로나19 기간에 개미들은 재산 증식을 위해 저금리를 활용 ‘빚투’(빚내서 투자)에 뛰어들었지만 부자들은 오히려 적극적으로 빚을 줄이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대출이 있는 부자 비율은 2019년 56.5%에서 2021년 43.8%로 낮아졌다. ‘

최근 1년간 주식 등에서 수익을 거둔 부자는 17%에 그쳤고, 거주용 부동산과 거주용 외 부동산에서 투자 수익을 낸 부자는 각각 42.5%와 34%나 됐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