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본


경제·정치 > 정치

[햔국경제 위기] 고환율·고물가·무역적자... 곳곳서 위기 '경고신호'

천상희 기자 입력 : 2022.10.02 수정 : 2022.10.02 19:48
https://newsborn.co.kr/news/news_view.php?idx_no=13664 뉴스주소 복사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통화 긴축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공급망 차질 여파 등으로 한국 경제 곳곳에서 '위험신호'가 켜졌다. 

달러 초강세로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에서 고공행진 중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6% 안팎까지 급등했고 무역적자는 쌓이고 경기 둔화 우려는 커지고 있다. 

다만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교하면 외환보유액 등 대외건전성 지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이에 정부는 이 때문에 경제위기 재현 가능성은 작다고 단언하지만 각국 중앙은행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경기침체의 고통이 장기간 이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환율·물가 고공행진... 경기둔화 우려 커지는 '복합위기'

2일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와 한국은행(이하 한은), 통계청 등 여러 기관의 자료를 분석해보면 한국 경제가 직면한 복합위기의 심각성이 드러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 충격파로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1,440원을 넘어섰고 1,500원을 뚫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 대형 경제위기 때를 제외하고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선 기록은 찾기 어렵다. 

또한 물가도 고공행진 중이며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월과 7월 각각 6.0%, 6.3%로 6%대를 찍었다.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6%대 이상을 기록한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지난 1998년 10월(7.2%), 11월(6.8%) 이후 처음이다. 

8월에는 상승률이 5.7%로 다소 둔화했고 국제유가와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 진정에 따라 10월 이후에는 상승률이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정부는 전망한다. 

그러나 환율 급등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등을 고려하면 물가가 6%대로 다시 뛰어오를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대외여건 악화에 경상수지 흑자 폭은 줄어들고 있고 지난 7월 상품수지는 10년 3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올해 110조8천억원(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에 달하는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예고된 가운데 경상수지마저 적자로 돌아설 경우 '쌍둥이 적자'가 발생할 수 있다.

무역수지는 9월 37억7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반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며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다. 

경기 둔화 우려는 커지는 모습이고 주요 기관들은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 초반으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IMF는 기존 2.9% 전망치를 2.1%로 내렸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2.5%에서 2.2%로 하향했다.

또한 국제신용평가회사 피치는 지난 28일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하면서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9%까지 내렸다.

 '제2의 외환위기 올까' 공포감 확산... 대외건전성은 비교적 양호

이처럼 거시경제 곳곳에서 위험신호가 속출하면서 대형 경제위기에 대한 공포감은 커지는 중이다.

대외신인도에 대한 우려도 확산하고 있으며 국가 신용도 위험 수준을 보여주는 5년물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 28일 57.98bp(1bp=0.01%포인트)로 연중 최고점을 기록했다. 

금융시장이 휘청이면서 신용위기 리스크가 불거지고 있다는 해석이다. 

다만 정부는 한국 경제가 복합위기 국면에 놓인 것은 맞지만 국가적 트라우마로 남아있는 외환위기, 금융위기 때처럼 심각한 대형 경제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 

부총리 겸 기재부 추경호 장관은 30일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차 방문한 필리핀 마닐라에서 기자들을 만나 "한국에서 경제위기가 재현될 가능성은 '매우 매우' 낮다는 게 외부의 시각"이라고 언급했다. 

정부 자신감의 원천은 비교적 양호한 대외건전성 지표다. 

신용평가회사 피치는 "한국의 견조한 대외건전성은 현재의 불확실성에 대응해 나가기에 충분한 수준의 안전판을 제공한다"고 평가한 바 있다. 

지난 8월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천364억달러며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204억달러의 약 21배,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의 2천12억달러의 약 2배 수준이다. 

대외자산도 2분기 말 기준 2조1천235억달러로 1997년의 1천176억달러, 2008년의 5천328억달러를 크게 웃돈다. 

단기외채는 2분기 말 기준 1천839억달러다.

특히 지난 1997년의 584억달러, 2008년의 1천457억달러보다 늘었지만 경제 규모 증가에 비하면 증가 폭이 크지 않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총외채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41.9%며 1997년에는 657.9%, 2008년에는 72.4%였다. 

정부는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는 외환보유액과 대외자산이 상당한 규모로 준비돼있으며 단기외채 비율도 높지 않아 위기 상황이 닥치더라도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사진= 거버너 연설하는 추경호 부총리

<저작권자ⓒ 뉴스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자 다른글 보기 [email protected]

# 태그 통합검색

뉴스 댓글

  • 댓글 300자 한도

Newsborn 'PICK'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298, 10층 1001-408호 (산암빌딩) | 후원계좌 672101-04-381471(국민은행)
등록번호 : 부산 아00435 | 등록일자 : 2021년 9월 30일 | 발행일자 : 2021년 9월 30일
대표전화 : 1833-6371 | FAX : 0508) 911-1200 | E-mail : [email protected] (기사제보 및 후원문의)
제호 : 뉴스본 | 대표 및 발행인 : 배문한 | 편집인 : 이승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승현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배문한

Copyright © newsborn,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