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

KAIST 연구팀, 자기장 이용해 알츠하이머 원인물질 분해 성공

남연희 기자 / 기사승인 : 2022-05-16 13:43:53
  • -
  • +
  • 인쇄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 개발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 산화…응집체 분해 및 신경독성 중화
▲ 저주파 자기장에 반응하여 들뜬 상태의 전하운반체를 형성함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를 분해하는 자기전기 나노입자의 모식도 (그림=KAIST 제공)

 

[메디컬투데이=남연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자기장을 이용한 알츠하이머질환의 원인물질 분해에 성공했다.

KAIST는 신소재공학과 박찬범 교수 연구팀이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알츠하이머질환을 유발하는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아미노산 화합물) 응집체를 자기장으로 분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자기 전기(Magnetoelectric) 소재는 자성과 전기성이 결합한 물성을 가지며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 소자, 트랜스듀서(Transducer)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핵심 물질이다.

그러나 자기 전기 소재는 원자 내 전자의 회전과 궤도 운동을 방해하는 양성자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스핀-오빗 상호작용)으로 인해 성능 향상에 한계를 지닌다.

연구팀은 자기 전기 소재의 일종이며, 반도체 및 배터리 분야에 주로 쓰이는 코발트 페라이트(Cobalt ferrite)와 비스무스 페라이트(Bismuth ferrite)를 코어쉘(Core-shell) 구조로 접합시킴으로써 이종(Heterogeneous) 자기 전기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서로 다른 자기 전기 소재의 균일한 접합을 통해 이들의 경계면에서 저주파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기-압전효과(Magneto-piezoelectric effect)를 일으킬 수 있었다.

특히 나노입자가 저주파 자기장에 반응해 전하 운반체를 생성할 때 열을 방출하지 않는 현상에 연구팀은 주목했다. 자기장은 뇌 조직을 손상 없이 투과할 수 있으며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에서 활용돼 의료적 안전성이 이미 검증된 바가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입자에 저주파 자기장을 쏘았을 때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Beta-amyloid peptide)를 산화시킴으로써 그 응집체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분해했고, 신경독성도 중화시킬 수 있음을 연구팀은 관찰했다.

아밀로이드 응집체는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퇴행성 신경질환들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며, 규칙적인 수소 결합을 통해 매우 안정적인 단백질 이차구조(Secondary structure)를 가져 분해가 어렵다고 알려져 왔다.

박찬범 교수는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소재는 독성이 낮으며 자기장과 반응해 아밀로이드 응집체를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기에 의료분야로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ˮ면서 ”이를 검증하기 위해 향후 알츠하이머 형질변환 마우스 등을 이용한 동물실험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ˮ고 말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지난 13일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

[저작권자ⓒ 메디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KAIST, 가뭄현상이 DNA에 적용되면?
케이씨피메디칼컴퍼니, 中 최대 성형플랫폼 신양과 미용클리닉 컨설팅 계약 체결
오상록 박사, KIST 제26대 신임 원장 취임
솔닥, 대구 달서구와 손잡고 취약계층 위한 비대면진료 인프라 확장
퇴행성 뇌질환 비밀 풀어줄 열쇠 찾았다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