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9일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사진=조선의 오늘)
북한이 19일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사진=조선의 오늘)

북한이 19일 단거리탄거리미사일(SRBM) 발사에 처음으로 사용한 지하미사일 발사대인 사일로(silo)가 최근 두 달 사이 급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업위성 플래닛 랩스(Planet Labs)가 촬영한 1월~3월 위성사진에서 동창리 서해발사장 인근에서 최근 2달 동안 지하 미사일 발사대로 추정되는 시설을 설립하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RFA(자유아시아방송)가 20일 보도했다.

올해 1월 9일에는 별다른 징후가 없었지만 1월 18일부터 2월까지 차량을 동원해 도로를 만드는 모습이 확인됐다.

2월 1일부터 발사대로 추정되는 시설의 공사를 시작해 발사 전날인 18일에는 시설 공사가 완료된 모습을 보였다.

20일에는 발사 이후 해당 시설이 검게 변했는데, 발사 이후 그을렸거나 지하발사대 상단이 열린 채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 마틴 비확산 연구센터(CNS)의 데이브 쉬멀러 선임연구원은 “복잡한 지하발사대가 아닌 미사일과 발사대를 넣을 수 있는 단순한 발사시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어 “작은 크기로 식별하기 어렵게 (북한은) 이 같은 발사대를 만들려고 할 것”이라며 “지하발사대를 포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미사일 전력을 식별하고 감시하는데 어려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조셉 버뮤데즈 선임 연구원도 “북한이 만든 첫 지하발사대로 굴착을 통해 만든 초보적인 수준”이라며 “미국, 러시아, 중국에서 개발된 지하발사대처럼 보이진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오랫동안 지하발사대를 개발에 노력해왔고 그것을 개발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미국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은 “다양한 방식의 공격방식은 적에게는 위협적”이라면서도 “한국과 미국의 시설처럼 건실해 보이진 않는다”라고 진단했다.

베넷 연구원은 “지하발사대 건설치고 두 달은 상당히 빠른 건설속도”라며 “화강암 분포가 많은 한반도의 지형적인 특성으로 봤을 때 이같은 속도로 지어진 지하발사대는 방어력이 뛰어날 것 같지 않다”고 분석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19일 오전 11시5분쯤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1발을 발사했다.

이날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일로는 미사일 발사대를 땅 속에 파묻어 적의 핵 공격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해 제2격이 가능하지만, 위치가 고정돼 있어 적에게 노출되면 원점타격에 취약하다.@

저작권자 © SPN 서울평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