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와 분석

[현장+] 현대중공업, 창사 이래 400명 올해 4명 사망…수장 교체 카드로 산재 물타기(?)

끝이 보이지 않는 현대중공업 산재사고…안전불감증. 허술한 감독 만연, 노동자를 사지로 내몰아
노조 "작업 중지 스티커가 안 붙었다는 이유로 버젓이 일 시켜…회사의 안전관리 어처구니없다"
현대중공업, 25일 최근 잇달아 발생한 안전사고 사과…하수 부사장 사임, 이상균 사장 선임


[KJtimes=견재수 기자]현대중공업에서 올해 들어 작업을 하다가 지금까지 4명이 목숨을 잃었고 또 다른 1명은 특수선 수중함 생산부에서 작업하던 중 어뢰 발사관에 설치된 유압 작동문에 끼여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의식불명 상태다. 이들 중에는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 다음 날 사고로 숨진 노동자도 있다.


지난 21일 현대중공업 울산 조선소에서 용접 보조일을 하던 하청업체 노동자 김모(50)씨가 숨졌다. 용접할 때 쓰는 아르곤 가스에 질식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사고에 앞서 노동부가 현대중공업에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열흘간 특별근로감독까지 벌였지만 그의 죽음을 막지 못했다. 이렇다 보니 노동계는 특별근로감독이 유명무실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의 요구로 노동부는 23일 현대중공업 내 밀폐구역 전체를 작업 중지하기 위해 감독관 13명을 파견해 노동조합과 함께 안전점검을 벌였다.


노조 한 관계자는 공장 구석구석까지 미치지 못한 안전점검에 노동자들은 여전히 안전을 위협 받고 있다“25일 대의원 7시간 파업과 동시에 진행한 노동조합 자체 안전점검은 밀폐구역 전체 작업중지 명령이 지켜지는지 확인하는 게 중점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부가 놓치고 간 밀폐구역에 작업중지는 고사하고 환기 팬 소리와 용접 불빛, 새어 나오는 가스가 가득했다면서 작업중지 스티커가 안 붙었다는 이유로 버젓이 일을 시켰다고 회사의 안전불감증과 노동부의 허술한 감독을 꼬집었다.



노동부의 하루짜리 안전점검은 사업장 곳곳에 넘쳐나는 밀폐구역을 다 찾아내기 사실상 부족하다그렇다고 노동부가 놓치고 간 자리를 손 놓고 스리슬쩍 넘어가는 회사의 안전관리는 더욱 어처구니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누구보다 안전을 우선해야 할 안전과장이 작업중지 스티커 무시하고 작업해라면서 작업을 지시했다고 주장하며 누가 봐도 환기 팬 없이는 숨 막힐 밀폐구역을 안전 관리자는 명확한 기준이 없다고 꼬집었다.


노동조합의 작업중지 명령을 무시했다면서 생산 관리자도 나서서 안전을 걱정하는데 안전 관리자라는 사람이 안전을 뒷전으로 두는 게 현대중공업 안전현실로 괜히 죽음의 조선소가 되었겠는가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현대중공업, 안전을 말할 자격 없다

 

앞서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지부는 25일 노조소식지를 통해 뻔뻔한 현대중공업은 안전을 말할 자격이 없다가짜 근무에 거짓 보고가 만연해 (특별근로감독은)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꼴이라고 꼬집었다.


노조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사업주는 1개월 내에 관할 고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데 이를 위반한 것을 산재은폐라 부르고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처벌이 약해서인지 많은 사업주들이 법을 우습게 여긴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8일 아무개 노동자(도장 작업)가 툴박스 문에 손가락이 끼어 골절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재해자는 5일 동안의 요양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지만 사흘 만에 출근했고 18일까지 일주일 넘게 깁스를 한 채 일은 하지 않고 출근 도장만 찍은 뒤 바로 퇴근했다이후 지금까지 자재 창고에서 대기하고 있고 근태를 조작해 산재를 은폐하는 일은 오랫동안 이어온 고질적인 적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매주 수요일 수요 안전공지가 뜨는데 경쟁 하듯 각 부서별 무재해 일수와 조선사업부 전체 무재해 일수가 적혀있다문제는 뻔히 사고가 발생했는데도 다수의 부서가 허위로 보고 하는데 있다고 전했다.


이어 대조립 1·2, 건조 5, 의장 5, 도장 1·2부 등 대표적인 사고 다발 부서에서 길게는 500일 넘게 한 건의 사고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허위보고서를 작성한 관계자나 그걸 확인 없이 곧이곧대로 믿는 최고경영진이나 도긴개긴이다고 산업재해 은폐 실태를 폭로했다.



<JTBC 뉴스룸>25일 현대중공업이 노동부 특별근로감독 직전에 엔진 기계를 다루는 작업장 노동자들을 현장에서 내보내 감독관의 눈에 띄지 않게 일부러 작업장을 비웠다고 주장하는 노조의 제보 영상을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노동부는 이 회사에서 올 들어 석 달 새 3명이 숨지자 511일부터 20일까지 열흘간 특별감독을 실시했고 바로 다음 날 4번째 사망자가 나왔다. 14일 촬영된 해당 영상에는 특별근로감독 직전에 노동자들이 현장을 빠져나가는 장면이 그대로 담겼는데 현장에선 제대로 된 감독이 아니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고 전했다.


노동자들에 따르면 특별근로감독 기간 감독관의 눈에 띄지 않게 일부러 작업장을 비워 작업장 곳곳은 텅 비었고 기계도 멈췄다. 회사는 감독관이 돌아가자 평소대로 노동자들을 작업에 복귀 시켰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울산지역노동자건강권대책위(이하 대책위)26일 현대중공업에선 올해만 5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하고 조선소 다단계 하도급 금지하라!’는 제목의 기자회견문을 발표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222일 트러스트 작업 중 추락사망, 317일 바지선에서 바다로 추락하여 익사, 416일 잠수함 어뢰발사구 문짝 끼임 사고 후 사망, 421일 도장공장 빅도어 끼임 사망, 521일 아르곤가스 질식사 등의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대책위는 잇단 중대재해로 고용노동부는 511일부터 20일까지 (현대중공업에 대해) 특별 안전감독을 진행했으나 중대재해를 예방하지 못했다“(21일 일어난) 파이프 내 아르곤가스 질식사는 20125월에도 현대중공업 해양사업부에서 발생한 적이 있다. 당시에도 아무런 안전조치가 없었다. 명백한 사업주 과실로 인한 사망이었으나 이를 바로잡지 못함으로써 판박이 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부는 2월 트러스트 추락사고와 422일 빅도어 끼임 사고에 대해 중대재해 발생 작업에 대해서만 작업중지를 명령했다전체 사업장에 동일한 위험이 있어 동일작업에 대한 작업중지를 통해 현장 노동자를 보호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해야 하나 그마저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올해 발생한 현대중공업 5건의 중대재해 책임을 물어 현대중공업 한영석 대표이사를 즉각 구속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중대재해를 근절하고 안전한 현장을 만들기 위해 현대중공업 대표이사와 법인에게 엄중한 책임을 묻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표이사와 법인에게 산재 사망의 책임을 묻는 것만이 실질적으로 산재 사망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영국의 기업살인법이 분명히 보여준다더 미루지 말고 21대 국회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즉각 제정해야 한다고 정치권을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현대중공업 조선사업 대표 전격 교체

 

한편 현대중공업은 25일 최근 잇달아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해 사과하고 사장 인사 및 조직 개편 등을 단행했다.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회장은 이날 잇따른 중대 재해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진심으로 송구스럽다앞으로 모든 계열사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경영을 펼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하수 부사장은 안전사고 발생에 책임을 지고 자진 사임했으며 이상균 현대삼호중공업 사장이 조선사업대표에 선임됐다고 발표했다.


현대중공업에서는 1974년 창사 이래 지금까지 400여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숨졌다. 그 동안 현대중공업은 안전점검을 벌여 재발방지에 노력하겠다고 안전을 입버릇처럼 말했지만 산재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코로나 라이프] 중국 코로나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KJtimes=김지아 기자] 이웃나라 중국의 '위드 코로나' 시행의 부작용은 방역 의료체계를 순식간에 붕괴시켰다. 짧은 기간감염자와 사망자가 속출했고, 많은 중국 국민들이 감염을 피해해외 여행을 핑계로 다른 국가로 피신하는 기이한 현상도 생겼다. 지난 1월 3일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중국인 남성 사건은 시사하는 바가 컸다. 이 남성은 코로나19 확진에 따른 격리 조치에 응하지 않고도주를 했다가 이틀 만에 검거됐다. 일각에서는 "이웃 나라에 민폐를 끼치는 중국, 과거에도 지금도 뻔뻔한 것은 중국의 몫"이라는 비난적인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중국 정부가 나서서 사과는 못할망정 오히려 한국인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을 전격 중단한 것 또한 말도 안된다는목소리다. 기억도 하기 싫은 지난 2020년 1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창궐해 전세계로 확산됐던 당시 우리 정부(당시 문재인 정부)는 의료계의 강력한 권고에도중국발 입국제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덕분에 우리나라도 다시 코로나19 악재를 뼈아프게 겪어야 했다. 게다가 오히려 중국으로부터 자국 내 한국인 격리 등 고강도 규제 조치를 당하는 치욕을 겪어야 했다. 이를 두고 "이번 한국 정부가지난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


무역보험공사·수출입은행, 호주 바로사 가스전 사업 '삐걱'···공익감사 대상에 올라
[KJtimes=정소영 기자] 기후위기 시대에 새로운 화석연료 사업에 투자를 승인했다가 기후 리스크에 처한 공적 금융기관들에 대한 공익감사가 청구됐다. 피청구인은 호주 법원으로부터 인허가가 무효되면서 중단된 호주 바로사 가스전 사업에 총 8000억원(미화 6억 6000만달러) 규모 금융지원을 결정한 무역보험공사와 수출입은행이다. 기후솔루션은 두 공적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지난 12일 오전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하고 감사원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익감사청구에는 시민 642명이 연명해 참여했다. 발언에 나선 김소민 연구원은 "호주 티위 원주민 대표 데니스 티파칼리파씨는 아무리 힘들고 오래 걸리더라도 삶의 터전과 바다를 위해,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했다"며 "그 싸움의 상대가 우리나라의 공적금융기관이 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화석연료 개발로 인해 기후위기 최전선에 놓인 사람들의 목소리를 더 이상 묵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가스 주성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메탄이 주성분이다. 메탄은 단기적으로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80배 크다. 손가영 연구원은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