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피해 신고만으로 차단과 수사가 신속하게 이뤄지는 통합 대응체계가 구축된다. 사진은 보이스피싱 통합대응단 신고대응센터 모습. (사진=연합뉴스)[소비자경제] 김동환 기자 =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했을 때 신고만으로 즉시 차단과 수사가 이뤄지는 통합 대응 체계가 본격 가동된다.
정부는 전기통신금융사기 근절을 위해 경찰·금융·통신 등 관련 기관이 한데 모인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이하 통합대응단)'을 공식 출범시켰다.
경찰청은 최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에서 통합대응단 개소식을 열고, 범정부 차원의 신속 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범정부 협업체계, 실시간 신고·차단·수사 연결
통합대응단은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수립된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의 핵심 실행 조직이다. 기존에는 상담 중심의 신고센터를 통해 대응이 이뤄졌지만, 한계가 명확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경찰청을 중심으로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관련 기관 인력이 한데 모여 근무하며 실질적인 범정부 협업의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신고·제보가 접수되면 금융기관 및 통신사와 직통 회선을 통해 신속히 피해 확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체계가 설계됐다. 신고와 동시에 계좌 지급정지, 소액결제 차단, 악성앱 삭제 등의 조치가 연동돼 피해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담·분석·차단·수사까지 '원스톱'
통합대응단은 정책협력팀, 신고대응센터, 분석수사팀의 3개 조직으로 구성됐다.
신고대응센터는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112 등을 통해 접수된 신고를 즉시 분석해 실시간 차단 조치를 진행한다.
분석수사팀은 접수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화번호 이용 중지, 계좌 추적, 수사 연계를 수행하며 전국 시도경찰청과 협력해 범인을 신속히 검거한다.
정책협력팀은 각 기관의 파견자들과 함께 법령·제도 개선, 정책 반영, 외국기관과의 협력 등 근본적 대응 기반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기관별로 분산돼 있던 보이스피싱 대응 체계가 "신고→분석→차단→수사→정책 개선"으로 하나의 흐름으로 통합됐다.
"국가적 위협 수준으로 진화한 보이스피싱, 끝까지 추적"
이날 개소식에서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금융사기가 아닌 국가적 위협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통합대응단을 중심으로 관계기관이 힘을 모아 실질적인 피해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도 "통합대응단 출범이 보이스피싱 대응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는 제도 개선과 인력 지원 등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이번 통합대응단의 정식 가동은 각 부처와 기관이 한마음으로 협력한 결과"라며 "국무조정실 차원에서도 범정부 TF를 중심으로 통합대응단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대책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끝까지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해외 신종사기까지 대응...캄보디아 등 동남아 조직 겨냥
최근 캄보디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한국인들이 현지 보이스피싱 조직에 감금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해외발 신종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통합대응단은 외국기관과의 정보공유 및 공조 수사를 강화해 해외 거점 기반 보이스피싱 조직에 대한 대응도 병행한다.
특히 '투자 리딩방' 등 금융사기와 결합된 신종 범죄 유형에 대해서도 경찰·금융당국·정보기관이 함께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민간 15개 기관, 근절 위한 공동협약 체결
이날 개소식에서는 정부·공공기관과 민간기업 등 총 15개 기관이 참여한 '전기통신금융사기 근절 협업 강화 업무협약(MOU)'도 함께 체결됐다. 각 기관은 향후 정보공유, 피해예방, 기술지원, 교육홍보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통합대응단의 출범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부터 수사까지 걸리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전망이다. 특히 피해자의 신고 순간부터 계좌 동결, 전화번호 차단, 수사 착수까지 일괄적으로 이뤄져 '골든타임 내 대응'이 가능해졌다.
정부는 이번 통합대응단이 단순한 신고 창구를 넘어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의 중심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관련 제도와 기술 인프라를 지속 보완할 방침이다.
npce@dailycnc.com